rendersubtree 속성을 사용하면 해당 DOM 의 서브-트리의 렌더링의 여부와 히팅-테스트를 조절할 수 있다. 예를 들면 스크롤을 하고 있을 때 리스트 아이템의 DOM 을 렌더링하지 않게 할 수 있다. display:none 과 비슷하지만 브라우저의 Find 등의 동작이나 히팅-테스트여부등이 다른 점이다. 더 자세한 내용은 Display locking 스펙에 설명이 있다. 아래 예제에서 보면 div 의 서브-트리는 바로 렌더링 되지 않는다 이후 스크립트로 rendersubtree 속성을 초기화 하면 그때 렌더링 된다. 다양한 사용예제들이 있으니 참고하자.
만약 의도한 대로 동작하지 않는다면 chrome://flags 에서 #enable-display-locking 를 확인하자
V8 의 힙 메모리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Tagged value 포인터의 비트를 절약하는 방법을 찾아내어 힙메모리가 평균 40% 정도 절약 되었다. 이에 따라서 페이스북, CNN 그리고 구글 맵스와 같은 사이트의 수행 시간이 각각 모바일, 테스크탑에서 4~10% 가량 줄었고 가비지 콜렉팅의 시간이 10% ~ 20% 가량 줄었다.